블로그스팟 2차 도메인 애드센스 사이트 추가 오류 해결 방법
오늘의 새로운 최신 정보는 요즘 블로그스팟 2차 도메인을 적용한 후 애드센스 페이지에서 사이트 추가할 때 발생하는 소유권 확인 오류 해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블로그스팟 2차 도메인 연결할 때 유의할 점
블로그스팟 시용자가 2차 도메인을 유료로 구매해서 사용하는 이유는 네이버, 구글, 다음 등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이 더 잘되길 희망하기 때문입니다. 보통 가비아나 호스팅케이알 같은 사이트를 통해 맞춤 도메인을 구매하는데 이 때 유의할 점은 도메인 주소를 너무 길지 않게 설정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이 2차 도메인을 승인받은 후 대부분의 사람들이 서브 도메인을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그 경우 구매한 도메인 주소 앞에 서브 도메인 명이 붙기 때문에 도메인 자체를 너무 길게 세팅하면 사용자도, 관리자도 불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티스토리와 다르게 사이트 주소가 중요한 이유는 티스토리는 최소한 콘텐츠만을 노출해서 그 콘텐츠를 충실히 독자가 읽게 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블로그스팟은 최대한 독자들이 다른 정보도 함께 일기 위해 유도하며 다시 한번 그 블로그를 기억해서 방문하도록 하게 하는 것이 목적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블로그스팟은 이러한 다양한 유도장치를 만들어 많은 이들이 방문하도록 유도해야 하는 노력을 거쳐야만 티스토리만큼의 블로그점수가 올라 각 포털에서 검색이 잘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많은 유튜브나 블로그 정보들을 통해 공개된 것처럼 도메인 DNS 레코드 관리 설정을 CNAME 2개 설정과 구글 IP 주소 4개 등록을 반드시 해야 합니다. 이 내용은 추가 콘텐츠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블로그스팟 2차 도메인 주소 사이트 등록 에러 메시지
기본적으로 블로그스팟은 티스토리보다 초기 세팅에 신경을 써야 하는 포인트들이 많습니다. 그중 가장 난이도가 높은 것이 2차 도메인을 적용한 사이트를 애드센스 심사를 위해 추가하는 것입니다. 2024년 4월 이후 애드센스 사이트 추가 관련 정책이 변화한 이래 다소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만 사이트를 본인의 것으로 확인해 주며 사이트 검토가 되는 형태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과거에 제작된 블로그스팟 애드센스 등록 영상을 참고해서 애드센스 사이트 심사를 진행하다 보면 진행 첫 단계부터 경고 문구를 보게 되고 어떤 방법을 해도 해결이 되지 않는 문제에 다다르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저는 블로그스팟 계정과 애드센스 계정, 서치 콘솔 계정을 동일한 계정을 쓰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2024년 4월 이전에 제작된 블로그스팟 세팅 관련 유튜브 영상들에서 소개한 방법으로 애드센스에 새로운 사이트를 추가해보면 ‘URL은 최상위 도메인이어야 합니다. 입력하시려는 도메인이 http://자신의 도메인 주소입니까?’라는 경고 메시지를 보게 됩니다. 이 때부터 ‘무엇인가 잘못되었구나’하는 걱정이 생기면서 자신이 아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문제를 해결해 보려 하지만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결국 몇몇 블로거들이 소개한 방법인 ‘www’ 없이 사이트 주소를 입력하고 사이트 추가를 신청하면 사이트 소유권 확인을 위해 html 코드, ads.txt 입력 등 옵션을 통해 진행하라는 안내가 나오지만 이 역시 다 해봐도 사이트 소유 확인이 안되는 결과를 맞게 됩니다. 또한 결국은 2차 도메인 주소가 아닌 2차 도메인을 입히기 전 블로그 주소로 사이트 추가를 시도하는데, 이 경우 사이트 추가는 되지만 결국은 추후 애드센스 심사에서 실제 도메인 주소와 심사가 들어간 주소의 차이 때문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사이트 등록 이슈 해결 방법
많은 검색과 포럼의 글들을 읽은 후 결론은 도메인 DNS 레코드 설정과 블로그스팟 설정 페이지에서 도메인 리디렉션 기능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먼저 많은 유튜버들이 영상에서 소개한 것처럼 2차 도메인 구매 후 DNS 레코드 설정 2개를 끝낸 후, 자신이 구매한 도메인 사이트의 서버가 구글의 IP주소 4개를 인식하도록 추가 설정을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추가 세팅 방법은 DNS 레코드 설정에서 새 레코드를 누른 후 유형으로는 A 호스트 이름은 @ 값은 216.239.32.21을 입력합니다. 같은 방법으로 ‘유형 A 호스트 이름 @ 값 216.239.34.21’, ‘유형 A 호스트 이름 @ 값 216.239.36.21’, ‘유형 A 호스트 이름 @ 값 216.239.38.21’을 차례로 추가합니다. 그런 다음 블로그스팟 설정 페이지로 이동한 후 ‘게시’ 항목에서 ‘도메인 리디렉션’ 항목을 활성화시켜 줍니다. 이 절차를 끝내고 난 후 30분 정도가 지나면 검색창에 www 값을 뺀 내 2차 도메인 주소를 치게 되면 내 블로그로 들어가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후 내 블로그 페이지 사이트 주소를 복사한 다음 애드센스 페이지로 이동한 후 다시 사이트 추가를 하면 정상적으로 2차 도메인 주소의 블로그가 추가가 되고 검토 상태로 바뀌게 됨을 알 수 있습니다. 검토 과정에 들어간 사이트 상태 옆에 ads.txt 상태가 ‘찾을 수 없음’으로 된 문제의 해결은 다음 콘텐츠에서 다루겠습니다.
오늘은 블로그스팟 2차 도메인 구매 후 애드센스 사이트 추가할 때 생기는 소유권 확인 문제와 오류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